자, 이제 당시 대통령실에 있던 관련자들도 수사해야겠지요?

in avle •  13 days ago 

image.png

02-800-7070. 1년 2개월 전 JTBC의 단독보도로 처음 알려진 대통령실의 전화번호입니다.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이 채 상병 사건 수사를 경찰에 맡기려다 돌연 보류로 돌아서기 직전 이 번호로 온 전화를 받은 사실을 취재로 밝혀낸 겁니다. 이후 뉴스룸은 일관되게 이 번호의 발신자가 윤석열 당시 대통령인지를 밝혀야 채 상병 사건의 진실이 드러난다고 꾸준히 지적해 왔습니다. 하지만 당시 대통령실은 "북한이 보고 있다", "기밀사항이다" 이런 핑계까지 대가며 이 번호를 누가 썼던 건지 끝내 감췄습니다. 그런데 특검 수사가 자기 턱밑까지 오고서야 이종섭 전 장관이 입을 열었습니다. 그 번호로 전화를 건 게 윤 전 대통령이 맞단 겁니다.
먼저 김필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 사건 이첩보류 지시를 내리기 전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 장관은 순직해병 특검에 제출한 의견서를 통해 "대통령께서 7월 31일 피의자에게 전화하여 피의자에게 군 조직을 걱정하는 우려를 표명한 기억이 남아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해병대 수사 결과 보고를 받고 마음이 무겁던 차에 대통령도 전화로 우려의 말씀을 했다"고도 했습니다.

02-800-7070으로 걸려온 대통령실 명의의 전화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건 게 맞다고 한 겁니다.
해당 통화내용은 1년 2개월 전 JTBC 보도로 처음 알려졌는데 그동안 이 전 장관은 누구의 전화였는지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특검이 출범해 이 전 장관 집까지 압수수색한 이후에야 윤 전 대통령이 맞다고 인정한 겁니다.
그러나 이 전 장관은 "우려만 있었을 뿐 해당 통화에서 대통령의 격노나 임성근 전 사단장을 수사 대상에서 빼라는 말도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VIP 격노'와 이후 이어진 사건 이첩 보류 지시는 연관이 없다는 취지로 말한 겁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통화 직전 대통령실 안보실 회의에서 '임 전 사단장이 과실치사 혐의의 피의자'라는 수사 결과를 듣고 격노했다는 것이 사실로 드러났습니다.
또 대통령과 통화 직후 이 전 장관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통화해 이첩 보류 지시 등을 내렸습니다.
그런데도 이 전 장관은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건 나중에야 알았다"며 "(대통령의 우려는) 참고사항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전 장관의 의견서를 접수한 특검은 그동안 확보한 압수물과 증언 등을 분석한 이후에 이 전 장관을 불러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따져 물을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정재우 영상편집 류호정 영상디자인 정수임 신재훈]
김필준 기자 ([email protected])

기밀이니 뭐니하면서 아무것도 인정안하면서,
국회를 비웃으면서 버티던 정진석을 비롯해서
주진우도 마찬가지이고, 다른 인사들 모두
직권남용에서 벗어날 수 없어 보입니다

순직한 해병에 대한 제대로된 조사를 못하도록 방해한 것에 대한
책임자들을 모두 재판에 세워서 정당한 처벌이 되기를 바랍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그러네요.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