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도에 참여해본 텔레그램 코인 프로젝트들과 크립티드 헌터

in cryptidhunter •  15 days ago  (edited)

먼저 오늘의 에어드랍

1.PNG

2.PNG

3.PNG

주말이라 3번 눌러봤는 데 역시 헌터팩은 나오기가 힘들죠..
저 아이템들이 제일 많이 나오는 드랍템들입니다.

오늘은 어쩌다가 25년도에 처음 참여해본 텔레그램
에드작들에 대해 얘기 좀 해보겠습니다.

그전까진 에드작들을 잘 모르고 있었으나 유튜브에서
텔레그램 P2E에 참여하는 법을 보고 하지도 않던
텔레그램까지 깔아서 해본게 시작이었습니다.

그 유튜버들의 링크를 따라가서 게임을 깔면
리퍼럴 수익만 제공해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는
이미 큰 손해를 보고 난 뒤였지요...

텔레그램 에드작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사례를 들면

*멘징이 짧아 그 사이에 러그 안 치겠지 하다가
빠른 타이밍에 러그

*업데이트 후 마이너 패치로 슬로우 러그

*톤으로 노드 판매 후 100프로 달성이 되어도
감감 무소식

*NFT 판매 해놓고는 질질 시간 끌다가
팀만 큰 수익을 보게 하고 참여자들에게
손해 전가하는 쓰레기XX들

*진행은 시원하게 해도 결국 보상 받아보면 손해...

25년도에 진행해본 텔레그램 에드 작업들은
십수개가 전부 시간,재화 낭비였습니다.

그나마 투자 대비 수익을 배로 안겨준 프로젝트는
크립티드 헌터밖에 없었네요...

이 것도 제가 판단이 좋았던게 초기 헌터팩에서는 지금
보다 레전드가 나올 확률이 약간 높았는 데 그때
판단을 하여 미리 구입을 했었고 레전드 2개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 뒤로 40여개의 팩과 합성에서도 레전드를 도저히
구할 수 없었던 운빨을 보면 이 때의 선택 하나로
스펙업을 크게 할 수 있었으니 정확한 판단이었지요.

이번에 에드작들을 참여하며 얻은 결론은 스스로가
공부하고 판단하지 않는 이상은 좋은 결과가 나오기
어렵다는 것이었고 텔레그램 에드작들은 99%가
참여할만한 가치도 없다는 겁니다.

요즘 유행하는 야핑도 결국 극소수만 이득을 보게
되어있습니다. 코인쪽이 원래 그런 구조더군요.

그럼에도

크립티드 헌터 프로젝트는 제가 눈 여겨 보고 있는 것이
팀에서 발표한

photo_2025-06-26_00-16-17.jpg

TCG입니다. 출처는 개발팀 공지

크립티드 헌터팀의 정말 큰 장점 중 하나로
정직성을 뽑습니다. 그렇기에
게임만 제대로 뽑혀 나온다면

정말 잘될 것으로 보고 있고요.

성공해서 정직한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는 선례로
남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This post has been selected and upvoted by the Steemit Curation Team as part of our efforts to support quality content on the platform.

Curated by: Cryptid Hunter Team x Booming02 account
Project: Cryptid Hunter x Steemit Curation

Thank you for contributing to the STEEM ecosystem!